파트리시오 아일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트리시오 아일윈은 칠레의 정치인으로, 1990년부터 1994년까지 칠레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칠레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칠레 기독교 민주당의 창립 멤버이자 당 의장을 여러 차례 역임했다. 살바도르 아옌데 정부 시절에는 야당을 이끌었으며,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쿠데타를 지지하기도 했다. 1988년 국민투표에서 피노체트의 연임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주도하여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이끌었고, 1989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피노체트의 독재를 종식시켰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빈곤 감소와 사회 프로그램 확대를 위해 노력했으며, 군부와의 관계 속에서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려 했다. 퇴임 후에는 민주주의와 정의를 위한 기구 회장을 역임했으며, 2016년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계 칠레인 - 세르히오 리빙스토네
세르히오 리빙스토네는 칠레의 축구 선수로서 우니온 에스파뇰라 등에서 골키퍼로 활약하며 칠레 국가대표로도 활동했고, 은퇴 후에는 스포츠 저널리스트로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등에서 활동하며 칠레 스포츠계에 영향을 미쳤다. - 칠레의 변호사 - 리카르도 라고스
리카르도 라고스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칠레의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피노체트 독재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교육부 장관과 공공사업부 장관을 거쳐 대통령에 당선되어 경제 성장과 사회 개혁을 추진했다. - 칠레의 변호사 - 왈도 L. 파라
왈도 L. 파라는 칠레 가톨릭 대학교와 칠레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하고, 칠레 대학교와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대학교에서 법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프리메이슨과 해방자' 시리즈 소설로 알려진 칠레의 법학자이자 작가이다.
파트리시오 아일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파트리시오 아일윈 아소카르 |
출생일 | 1918년 11월 26일 |
출생지 | 비냐델마르, 칠레 |
사망일 | 2016년 4월 19일 |
사망지 | 산티아고, 칠레 |
안장 장소 | 산티아고 일반 묘지, 산티아고 |
배우자 | 레오노르 오야르순 이바노비치 (1948년 결혼) |
자녀 | 5명 |
모교 | 칠레 대학교 |
직업 | 변호사 |
정치 경력 | |
대통령 임기 시작 | 1990년 3월 11일 |
대통령 임기 종료 | 1994년 3월 11일 |
대통령 전임자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우가르테 |
대통령 후임자 |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타글레 |
상원 의장 임기 시작 | 1971년 1월 12일 |
상원 의장 임기 종료 | 1972년 5월 22일 |
상원 의장 전임자 | 토마스 파블로 엘로르사 |
상원 의장 후임자 | 호세 이그나시오 팔마 |
칠레 공화국 상원 의원 | 쿠리코, 탈카, 리나레스, 마울레 제6선거구 |
상원 의원 임기 시작 | 1965년 5월 15일 |
상원 의원 임기 종료 | 1973년 9월 11일 |
소속 정당 | 기독교민주당 |
기타 정보 | |
훈장 | OMCh |
![]() |
2. 젊은 시절
칠레 비냐델마르에서 미겔 아일윈과 라우라 아소카르 사이의 다섯 아이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일윈은 1066년 노르만 정복 이전의 고대 영어 이름이다. 그는 부분적으로 웨일스인의 후손이다. 칠레 대학교 법대에 다녔으며, 1943년에 최고 성적으로 변호사가 되었다. 칠레 대학교와 칠레 가톨릭 대학교에서 최초로 행정법 교수를 하였고, 《Instituto Nacional》에서 공민 교육과 정치 경제 교수를 역임했다.[2]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칠레의 모든 야당에게 큰 골칫거리였다.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포함한 칠레 야당 정치인들은 피노체트를 권좌에서 끌어내리기 위해 노력했다. 이들은 1987년 대한민국에서 실시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과 김대중의 후보 단일화 실패로 노태우가 당선되어 군사정부가 연장된 사례를 연구했다. 이를 통해 칠레 야당은 "내가 양보하더라도 피노체트만 낙선시키면 우리 모두가 당선된 것이나 다름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단일화에 합의했다.
1948년 9월 29일, 레오노르 오야르순 이바노비크와 결혼했다. 슬하에 다섯 자녀를 두었으며, 14명의 손주가 있었다. 그의 딸 마리아나 아일윈은 리카르도 라고스 대통령 정부에서 교육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손녀 파스 바스쿠냔은 인기있는 멜로드라마 텔레노벨라 배우이다.[4] 그의 형제인 안드레스 아일윈 또한 정치인이었다.[3]
3. 정치 경력
1989년 칠레 대통령 선거에서 아일윈은 단일화된 야당의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이로써 피노체트의 독재 정권은 종식되었다.
3. 1. 초기 정치 활동
아일윈은 1945년 파랑헤 나시오날(Falange Nacional)에 입당하면서 정치에 참여했다. 1950년부터 1951년까지 파랑헤 의장을 지냈고,[5][6] 칠레 기독교 민주당(Christian Democratic Party of Chile)이 창당된 후 1958년부터 1989년까지 7번 당 의장을 역임했다.
1965년 상원의원에 당선되었고, 1971년 상원 의장이 되었다. 인민연합 정부 (살바도르 아옌데 대통령) 시절, 당 의장으로서 의회 안팎에서 아옌데 정부에 대한 민주적 야당을 이끌었다.[7] 그는 국가의 정치 위기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아옌데를 불신한 아일윈은 "대통령이 자신의 진심을 증명하기 위해 내각에 군인만 임명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아옌데는 부분적으로만 이를 따랐다. 아일윈은 "군부가 국가에 민주주의를 회복할 것이라고 믿고 쿠데타 지지 세력과 손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8] 그는 "마르크스주의 독재와 군부 독재 중에서라면 후자를 선택하겠다"고 분명하게 말했다.[9]
1976년까지 기독교 민주당 의장을 지냈고, 1982년 당 지도자 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Eduardo Frei Montalva) 사망 후 군부 독재 기간 동안 당을 이끌었다. 이후 독재에 맞서 민주 세력을 재결합하기 위해 24인 헌법 연구 그룹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1979년에는 새로운 헌법을 승인하는 국민투표에 반대하는 그룹의 대변인 역할을 했다.
1982년 기독교 민주당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헌법을 현실로 받아들여 민주주의 복귀를 쉽게 하자는 주장을 처음으로 제기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1988년 칠레 국민투표에서 "반대" 캠페인이 승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국민투표 후, 정부와 야당이 54개 헌법 개정에 합의하도록 이끄는 협상에 참여하여 16년간의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평화롭게 이행할 수 있도록 했다.
3. 2. 아옌데 정부와의 갈등 및 쿠데타 지지
아일윈은 1971년 상원 의장이 되었다. 아옌데 정부 (인민연합) 시절, 그는 기독교 민주당 의장으로서 의회 안팎에서 아옌데 정부에 대한 민주적 야당을 이끌었다.[7] 그는 국가의 정치 위기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려 노력했으나, 아옌데를 불신하여 "대통령이 자신의 진심을 증명하기 위해 내각에 군인만 임명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아옌데는 부분적으로만 이를 따랐다. 아일윈은 "군부가 국가에 민주주의를 회복할 것이라고 믿고 쿠데타 지지 세력과 손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받으며,[8] "마르크스주의 독재와 군부 독재 중에서라면 후자를 선택하겠다"고 말했다.[9]
1970년 출범한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에 맞서 우파 연합을 결성하고 아우구스토 피노체트(Augusto Pinochet)의 쿠데타를 지지했다. 그는 군사 정권을 잠정 정권으로 보고, 이후 기독교민주당 중심의 민주 정권으로 빠르게 이행될 것이라 기대했으나, 피노체트는 정권을 놓지 않았고 군정은 17년간 계속되었다.
3. 3. 군사 정권 반대 활동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칠레의 모든 야당에게 큰 골칫거리였다.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포함한 칠레 야당 정치인들은 피노체트를 권좌에서 끌어내리기 위해 노력했다. 1987년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는데, 김영삼과 김대중의 후보 단일화 실패로 노태우가 당선되어 군사정부가 연장되었다. 칠레 야당은 이를 교훈 삼아 "내가 양보하더라도 피노체트만 낙선시키면 우리 모두가 당선된 것이나 다름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단일화하여, 1989년 칠레 대통령 선거에서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다. 아일윈은 결국 당선되어 피노체트의 독재 정권을 종식시키는 데 성공했다.[10]
아일윈은 1976년까지 기독교 민주당 의장을 지냈고, 1982년 당 지도자 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Eduardo Frei Montalva) 사망 후에는 군부 독재 기간 동안 당을 이끌었다. 그는 독재에 맞서 민주 세력을 재결합하기 위해 24인 헌법 연구 그룹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1979년에는 새로운 헌법을 승인하는 국민투표에 반대하는 그룹의 대변인 역할을 수행했다.
1982년 아일윈은 기독교 민주당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헌법을 현실로 받아들여 민주주의 복귀를 용이하게 하자는 주장을 처음으로 제기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1988년 칠레 국민투표에서 "반대" 캠페인이 승리하는 데 파트리시오 아일윈은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10] 국민투표 후 그는 정부와 야당이 54개의 헌법 개정에 합의하도록 이끄는 협상에 참여하여, 16년간의 독재에서 민주주의로의 평화로운 이행을 가능하게 했다.
1989년, 피노체트의 후임을 결정하는 대통령 선거에 콘세르타시온 데모크라시아(Concertación Democrática)(중도 정당 연합)에서 출마했다. 과거 피노체트 쿠데타를 지지했던 그의 과거에도 불구하고, 좌파 세력의 대부분도 군정 타도를 위해 그를 지지했다. 반면, 피노체트 지지파는 분열하여 두 명의 후보가 나섰기 때문에, 아일윈이 큰 차이로 승리했다.
3. 4. 1988년 국민투표와 민주화 운동
1982년 아일윈은 기독교 민주당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헌법을 현실로 받아들여 민주주의 복귀를 용이하게 하자는 주장을 처음으로 제기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대한민국의 박정희, 전두환에 이은 노태우 군사정권 3연속 집권의 원인이 야당 지도자인 김영삼과 김대중의 분열에 있다고 판단했다. 칠레 야당은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내가 양보하더라도 피노체트만 낙선시키면 우리 모두가 당선된 것이나 다름없다'는 결론을 내렸다.[7]
1988년 10월 5일 칠레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찬성" 투표는 피노체트에게 8년의 추가 임기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피노체트가 연임될 것이라는 예상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미디어 캠페인 덕분에 "반대" 캠페인이 승리했다. 이 캠페인은 2012년 영화 ''노''에 묘사되어 있다. 파트리시오 아일윈은 피노체트 장군을 물리친 운동의 중심에 있었다.[10] 국민투표 후 그는 정부와 야당이 54개의 헌법 개정에 합의하도록 이끄는 협상에 참여하여 16년간의 독재에서 민주주의로의 평화로운 이행을 가능하게 했다.
4. 대통령 재임 (1990-1994)
파트리시오 아일윈은 1989년 대통령 선거에서 콘세르타시온 데모크라시아(중도 정당 연합)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과거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쿠데타를 지지했던 전력이 있었지만, 군정 타도를 위해 좌파 세력도 그를 지지했다. 피노체트 지지파는 분열되어 두 명의 후보가 나섰기 때문에 아일윈이 큰 차이로 승리하였다.
아일윈은 1990년 3월 11일부터 1994년 3월 11일까지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그의 내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직책 | 이름 | 정당 | 재임 기간 |
---|---|---|---|
내무부 장관 | 엔리케 크라우스 | PS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외무부 장관 | 엔리케 실바 시마 | PR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국방부 장관 | 파트리시오 로하스 | DC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재무부 장관 | 알레한드로 폭슬리 | DC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대통령실 정무장관 | 에드가르도 보이닝거 | DC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대통령실 공보장관 | 엔리케 코레아 | PS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경제부 장관 | 카를로스 오미나미 | PS | 1990년 3월 11일 - 1992년 9월 28일 |
호르헤 마샬 | PPD | 1992년 9월 28일 - 1993년 12월 16일 | |
하이메 토하 | PS | 1993년 12월 16일 - 1994년 3월 11일 | |
국가환경위원회 위원장 | 하이메 토하 | PS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사회개발부 장관 | 세르히오 몰리나 실바 | DC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교육부 장관 | 리카르도 라고스 | PPD | 1990년 3월 11일 - 1992년 9월 28일 |
호르헤 아라테 | PS | 1992년 9월 20일 - 1994년 3월 11일 | |
법무부 장관 | 프란시스코 쿰플리도 | DC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노동부 장관 | 르네 코르타자르 | DC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공공사업부 장관 | 카를로스 우르타도 루이스-타글레 | 무소속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교통부 장관 | 헤르만 코레아 | PS | 1990년 3월 11일 - 1992년 9월 28일 |
헤르만 몰리나 발디비에소 | PPD | 1992년 9월 28일 - 1994년 3월 11일 | |
보건부 장관 | 호르헤 히메네스 | DC | 1990년 3월 11일 - 1992년 10월 30일 |
훌리오 몬트 | DC | 1992년 10월 30일 - 1994년 3월 11일 | |
주택부 장관 | 알베르토 에체가라이 오브리 | 무소속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국유재산부 장관 | 루이스 알바라도 콘스텐라 | PPD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농업부 장관 | 후안 아구스틴 피게로아 | PR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광업부 장관 | 후안 해밀턴 데파시에르 | DC | 1990년 3월 11일 - 1992년 9월 28일 |
알레한드로 헤일스 | DC | 1992년 9월 28일 - 1994년 3월 11일 | |
여성부 장관(Sernam) | 솔레다드 알베아르 | DC | 1990년 3월 11일 - 1994년 3월 11일 |
아일윈 정부는 취임 직후 군사 정권 시대 군부의 인권 침해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해 진실화해위원회를 설치했다. 그러나 피노체트는 육군 총사령관직을 유지하며 군부를 지배했고, 쿠데타를 정당화하며 책임 추궁을 방해했다.[35] 또한, 여당의 국회 의석 수 부족으로 피노체트가 제정한 헌법을 개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4. 1. 국내 정책
파트리시오 아일윈 정부는 집권 기간 동안 빈곤과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90년에 도입된 세제 개혁은 세수를 약 15% 증가시켰고, 아일윈 정부는 GDP 대비 사회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 지출을 9.9%에서 11.7%로 늘릴 수 있었다. 아일윈 정부 말기에는 공공 보건 프로그램 확대, 젊은 칠레인들을 위한 직업 훈련 프로그램, 대규모 공공 주택 사업 등 사회 프로그램에 전례 없는 자원이 배정되었다.[13]보다 가난한 지역 사회에 대한 지원을 위한 새로운 연대 및 사회 투자 기금이 설립되었고, 사회 지출(특히 보건 및 교육)은 1989년에서 1993년 사이에 약 3분의 1 증가했다. 1990년에는 노동 조합 권리와 단체 협상을 확대하는 새로운 노동법이 제정되었고[14] 근로자의 퇴직금도 개선되었다.[15] 최저 임금도 인상되었으며,[16] 가족 수당, 연금 및 기타 혜택도 인상되었다.[17] 1990년부터 1993년 사이에 실질 임금은 4.6% 증가한 반면 실업률은 7.8%에서 6.5%로 감소했다. 교육비 지출은 40% 증가했고 보건비 지출은 54% 증가했다.[18] 아일윈 정부에서 빈곤층 칠레인들의 소득은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실질적으로 20% 증가했으며, 최저 임금 인상으로 1993년 최저 임금은 1990년보다 실질적으로 36% 높았다. 빈민가 정비 프로그램도 시작되어 아일윈 정부 아래 10만 채가 넘는 새로운 주택이 건설되었는데, 이는 피노체트 정부 당시 연간 4만 채에 비해 훨씬 많은 수치이다.[19]
아일윈 정부에서 빈곤층 칠레인의 수는 크게 감소했으며,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빈곤층 인구 비율은 1989년 약 40%에서 1993년 약 33%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14]
4. 2. 경제 정책
아일윈 정부는 집권 기간 동안 빈곤과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90년에 도입된 세제 개혁은 세수를 약 15% 증가시켰고, 아일윈 정부는 GDP 대비 사회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 지출을 9.9%에서 11.7%로 늘릴 수 있었다. 아일윈 정부 말기에는 공공 보건 프로그램 확대, 젊은 칠레인들을 위한 직업 훈련 프로그램, 대규모 공공 주택 사업 등 사회 프로그램에 전례 없는 자원이 배정되었다.[13]보다 가난한 지역 사회에 대한 지원을 위한 새로운 연대 및 사회 투자 기금이 설립되었고, 사회 지출(특히 보건 및 교육)은 1989년에서 1993년 사이에 약 3분의 1 증가했다. 1990년에는 노동 조합 권리와 단체 협상을 확대하는 새로운 노동법이 제정되었고[14] 근로자의 퇴직금도 개선되었다.[15] 최저 임금도 인상되었으며,[16] 가족 수당, 연금 및 기타 혜택도 인상되었다.[17] 1990년부터 1993년 사이에 실질 임금은 4.6% 증가한 반면 실업률은 7.8%에서 6.5%로 감소했다. 교육비 지출은 40% 증가했고 보건비 지출은 54% 증가했다.[18] 아일윈 정부에서 빈곤층 칠레인들의 소득은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실질적으로 20% 증가했으며, 최저 임금 인상으로 1993년 최저 임금은 1990년보다 실질적으로 36% 높았다. 빈민가 정비 프로그램도 시작되어 아일윈 정부 아래 10만 채가 넘는 새로운 주택이 건설되었는데, 이는 피노체트 정부 당시 연간 4만 채에 비해 훨씬 많은 수치이다.[19]
아일윈 정부에서 빈곤층 칠레인의 수는 크게 감소했으며,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빈곤층 인구 비율은 1989년 약 40%에서 1993년 약 33%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14]
4. 3. 군부와의 관계
대통령으로 당선된 파트리시오 아일윈의 재임 기간 동안, 아우구스토 피노체트가 이끄는 칠레 군부는 여전히 강력한 권력을 유지했다.[11] 헌법은 피노체트와 그의 지휘관들의 지속적인 영향력을 보장했으며, 이는 아일윈 정부의 여러 목표 달성을 저해했다.[11]피노체트는 군부가 살바도르 아옌데 정부 전복이나 수년간의 군사 독재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도록 결심했다.[12] 반면 아일윈은 군부 내에서 인권 침해를 저지른 자들을 사법 처리하려고 시도했다.[12]
아일윈은 대통령 취임 직후인 1990년 4월, 진실화해위원회를 설치하여 군사 정권 시대 군부의 인권 침해 사건 진상 규명에 착수했다. 그러나 피노체트는 여전히 육군 총사령관직에 머물며 군부를 지배하고 쿠데타를 정당화했으며, 쿠데타에 준하는 행동[35]을 통해 군사 정권의 인권 침해 책임 추궁을 방해하는 등 군부의 영향력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했다. 또한, 여당의 국회 의석 수가 부족하여 피노체트가 제정한 헌법을 개정할 수 없었다(선거가 아닌 군의 임명 의원이 존재했기 때문).
5. 퇴임 이후
아일윈은 빈곤 퇴치 방안을 개발하고 정치 윤리 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그가 설립한 비영리 단체인 '민주주의와 정의를 위한 기구'(Corporación para la Democracia y la Justicia)의 회장을 역임했다.
아일윈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콜롬비아,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포르투갈, 스페인, 미국 등의 대학과 칠레의 7개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 유럽평의회(Council of Europe)는 아일윈과 아일랜드 전 대통령 메리 로빈슨에게 인권, 민주주의 증진 및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 간 협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남북상(North-South Prize)을 수여했다.[23]
6. 사망
2015년 12월 18일, 아일윈은 자택에서 두부 부상을 입고 산티아고에 있는 병원에 입원했다.[24] 2016년 4월 19일, 97세의 나이로 호흡 부전으로 인한 자연사로 사망했다.[1]
그의 국장은 2016년 4월 22일에 거행되었고, 며칠 후 산티아고 일반묘지에 안장되었다.[25]
7. 수상 내역
- 유럽 평의회: 북-남 상 (1997)
- 풀브라이트 협회: 국제 이해를 위한 윌리엄 풀브라이트 상 (1988)
8. 외국 훈장
9. 저서
10. 역대 선거 결과
참조
[1]
뉴스
Patricio Aylwin, President Who Guided Chile to Democracy, Dies at 97
https://www.nytimes.[...]
2016-04-21
[2]
간행물
Reseña Biográfica Parlamentaria – Patricio Aylwin Azócar
http://historiapolit[...]
2009-05-20
[3]
웹사이트
A los 93 años, fallece el ex diputado DC y defensor de los DD.HH. Andrés Aylwin | Emol.com
https://www.emol.com[...]
2018-08-20
[4]
뉴스
Paz Bascuñán y su primer hijo: "Tenía mucha ilusión de verlo y conocerlo"
https://web.archive.[...]
2009-08-13
[5]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서적
Patricio Aylwin Azócar
Charles Scribner's Sons
[7]
뉴스
Man in the News: Patricio Aylwin; A Moderate Leads Chile
https://www.nytimes.[...]
1989-12-16
[8]
서적
Patricio Aylwin
[9]
뉴스
Los dichos históricos de Patricio Aylwin sobre Allende y Pinochet desde 1973
http://www.latercera[...]
2012-05-29
[10]
뉴스
Patricio Aylwin, Chile's first post-Pinochet president, dies
https://www.bbc.com/[...]
[11]
서적
Problem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2]
서적
Patricio Aylwin
[13]
서적
Constructing democratic governance: South America in the 1990s
[14]
서적
A History of Chile, 1808–1994
[15]
서적
Victims of the Chilean Miracle: Workers and Neoliberalism in the Pinochet Era, 1973–2002
[16]
서적
Safety nets, politics, and the poor: transitions to market economies
[17]
서적
Fast forward: Latin America on the edge of the 21st century
[18]
서적
Development Challenges in the 1990s: Leading Policymakers Speak from Experience
[19]
뉴스
Chile Advances in a War on Poverty, And One Million Mouths Say 'Amen'
https://query.nytime[...]
1993-04-04
[20]
웹사이트
Chilean president's Welsh links undone by genealogy - Fraser & Fraser
https://www.fraseran[...]
2022-03-24
[21]
웹사이트
Declassified file reveals Chilean president's British connections
https://www.pressrea[...]
[22]
웹사이트
Archivo Patricio Aylwin
http://www.archivopa[...]
[23]
웹사이트
The North South Prize of Lisbon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4]
웹사이트
Chilean ex-president Aylwin hospitalized after fall
https://thepeninsula[...]
[25]
웹사이트
T13 | Tele 13
https://www.t13.cl/g[...]
[26]
학술지
ARCHIVO FOTOGRÁFICO PATRICIO AYLWIN
https://fundacionayl[...]
2020-12
[27]
학술지
Discurso de S.E. El Presidente de la Republica, D. Patricio Aylwin Azócar, en ceremonia de intercambio de condecoraciones con el Presidente de México Carlos Salinas de Gortari
https://fundacionayl[...]
1990-03-23
[28]
웹사이트
Order of Jamaica (OJ) – Jamaica Information Service
https://jis.gov.jm/i[...]
[29]
뉴스
24846 Real Decreto 1223/1990
https://www.boe.es/b[...]
1990-10-12
[30]
뉴스
10428 Real Decreto 433/1991
https://www.boe.es/b[...]
1991-04-06
[31]
웹사이트
Cavaliere di Gran Croce Ordine al Merito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s://www.quirinal[...]
[32]
웹사이트
Senarai Penuh Penerima Darjah Kebesaran, Bintang dan Pingat Persekutuan Tahun 1991.
http://www.istiadat.[...]
[33]
학술지
Bundeskanzler Anfragebeantwortung
https://www.parlamen[...]
2012-04-23
[34]
웹사이트
Murió el expresidente chileno Patricio Aylwin
http://www.dw.com/es[...]
[35]
웹사이트
論文 チリ民主化とエイルウィン政権 の人権政策 その成果 と限界
http://www.ajel-jala[...]
ラテンアメ リカ研究年報NO16(1996年)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